안녕하세요. ISO 45001 인증심사원 와이에스엠경영컨설팅의 윤수만대표입니다.
ISO 45001 인증의 필요성이 좀 더 부각된 시점이라고 한다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2022년이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을 해석하면 [워키백과]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재해 중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하거나, 동일한 원인으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하거나,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발생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에 3명 이상 발생한 경우. 중대시민재해는 특정한 원료나 제조물, 공중이용시설, 대중교통수단의 설계, 제조, 설치, 관리상 결함으로 인해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하거나, 동일한 사고로 2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10명 이상 발생하거나, 동일한 원인으로 3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질병자가 10명 이상 발생한 경우에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고, 부상자나 질병자가 발생한 중대재해의 경우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궁극적인 목적은 안전조치 의무를 위반하여 발생하는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ISO 45001 인증이 필요한 이유도 재해 발생 시 처벌을 피하기 위함이라기 보다 직원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질병을 예방하고, 직원의 복지를 증진하려는 목적 외에 법 준수, 리스크 및 기업 이미지 관리, 더 나아가서는 지속가능한 경영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전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는 만큼 예방 차원에서 검토 및 산업재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보시기 바라며 그 조치 중에 하나인 ISO 45001 인증을 검토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와이에스엠경영컨설팅
윤수만 / ISO 45001 인증심사원 (marketer@jm.co.kr , 010-5577-2355)
2025/02/13 11:50
2025/02/13 11:50